 |
|
치아의 통증 - 치통에는 7가지가 있다[牙齒痛有七]
치통은 위(胃) 속에 있던 습열(濕熱)이 잇몸 사이에 올라갔을 때 풍한에 감촉되거나 찬 것을
마신 것으로 말미암아 습열이 몰리고 맺혀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寒)은 표(標)이기
때문에 맛이 맵고 성질이 더운약으로 문지르고 양치해야 한다. 병의 근본은 열이기 때문에 속으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열을 발산시켜야 한다.
|
|
|
|
|
치료방법
|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
풍열 (풍사와 속의 열이 서로 부딪쳤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잇몸이 붓고 아프며 고름이 나오고 더러운 냄새가 난다.
치료과정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을 먹고 형개탕으로 양치 한다.
|
|
|
|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플 때에는 잇몸이 붓지 않고
벌레도 먹지 않으면 날이 갈수록 이빨이 흔들린다.
치료과정
: 온풍산을 먹고 개소산으로 양치 한다.
|
|
|
|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열로 이빨이 아픈 것은 장위(腸胃)에 열이 몰렸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잇몸이 붓고 헤어지며[爛] 입에서 더러운 냄새가 난다.
치료과정
: 양격산(凉膈散)에 지모, 석고, 승마를 좌약[佐]으로 더 넣고 술에 축여 찐 대황을 주약[君]으로
더 넣어서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쓰는데 물고 있다가 삼키면 곧 낫는다.
|
|
|
|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찬 기운이 뇌에 침범하여 머리와 이빨이 아프다.
치료과정
: 강활부자탕이나 갈초산이나 세신산을 쓴다.
|
|
|
|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열(熱)이 나고 담(痰)이 생겨 독기(毒氣)가 치밀어
올라서 경락(經絡)에 들어갔을 때에 치통이 제일 잘 생기는데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래가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것이다.
치료과정
: 이진탕(二陳湯)에 족두리풀(세신), 지각, 생강, 대추, 오매를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
또는 강황과 필발을 같은 양으로 하여 달여서 따뜻할 때에 혀를 담그고 있으면 침이 나오고 낫는다.
|
|
|
|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풍열(風熱)이 잇몸을 자극하여 피가 나와서 엉키고 막혀
풀리지 않고 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다
치료과정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을 쓴다. 혹은 가감감로음(加뵳甘露飮)에 승마를 넣어 쓰기도 한다.
오령지를 식초에 넣고 달여서 입에 머금고 있다가 삼켜도 곧 낫는다.
|
|
|
|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음식을 먹은 다음 이빨을 깨끗하게 닦지 않으면 이빨 사이에
끼운 찌꺼기가 썩어서 냄새가 나게 된다. 그리고 오래되면 이빨과 잇몸에 구멍이 생기는데 벌레가
그곳을 파먹게 된다. 벌레가 하나의 이빨을 다 파먹은 다음에는 또 다른 이빨을 파먹는다. 감닉(疳뼧)도
이와 같은 종류인데 이때에는 반드시 벌레를 죽여야 아픈 것이 멎는다.
치료과정
: 골조풍(骨槽風)으로 변하여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뼈가 드러난 데는 옥지산을 쓴다.
벌레가 먹어서 아픈 데는 일소산, 초염산, 봉와산, 정통산을 쓴다. 이빨이 아픈 것이 바람을
들여마시면 몹시 아프고 입을 벌리면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 다.-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을
쓴다.
|
|